카마그라구입 “안전한 곳 없다 죽을 날만 기다려”…‘지상전’ 가자시티 주민 인터뷰

본문 바로가기
묻고 답하기
> 나눔마당 > 묻고 답하기
묻고 답하기
※ 궁금한 점을 남겨주시면 최대한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립니다.

카마그라구입 “안전한 곳 없다 죽을 날만 기다려”…‘지상전’ 가자시티 주민 인터뷰

이길중 0 1
카마그라구입 극심한 불안과 두려움 속에 살고 있다. 나와 내 가족들은 그저 여기서 죽음을 기다릴 뿐이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북부 가자시티에 사는 마무드 알하다드(27·사진)는 2023년 10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시작되기 전만 해도 가자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하던 밝고 건강한 학생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전쟁 장기화와 기근으로 인해 내일의 생사를 장담할 수 없는 현실 속에 살아가고 있다.
경향신문은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를 장악하기 위해 지상전에 돌입한 지 이틀째인 16일(현지시간) 모바일 메신저로 알하다드를 인터뷰했다. 가자시티는 가자지구 최대 인구 밀집 지역이다. 알하다드는 우리를 이주시키기 위해 (이스라엘군의) 공세가 매우 강해졌다. 상황이 좋지 않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피란길에 오르지 못했다. 알하다드는 그 무엇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나는 웹사이트 상위노출 집에 머무는 것을 택했다고 말했다. 그는 텐트도, 돈도 없어서 피란을 갈 수 없다며 가자 남부도 파괴됐다. 이스라엘군은 우리에게 남부로 떠나서 해변에 텐트를 치고 살라는 것 같다고 했다.
앞서 이스라엘군이 가자 남부 칸유니스 등으로 떠나라는 대피명령을 여러 차례 내렸지만 가자시티 주민들 대부분은 이동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이스라엘군에 따르면 가자시티 주민 100만명 중 약 35만명만 피란을 떠났다. 운이 좋아 피란 차량을 구해도 연료가 없다. 알하다드도 당나귀를 타고 다닌다고 했다. 그는 연료가 부족해 우리가 쓸 수 있는 교통수단은 없다고 말했다.
가자시티 대부분은 전쟁으로 인해 이미 폐허가 됐다. 알하다드는 가자지구 어디든 안전한 곳은 없다며 거리, 학교, 정부 기관 등이 모두 잿더미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창밖에는 부서진 학교의 잔해와 피란민들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탈리아의 명문 오케스트라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가 오는 12월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내한 공연을 갖는다고 공연기획사 빈체로가 19일 밝혔다. 산타체칠리아의 내한 공연은 2018년 이후 7년 만이다.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는 오페라극장에 소속된 오케스트라가 많은 이탈리아에서 보기 드문 콘서트 전문 오케스트라다. 레스피기의 ‘로마 3부작’을 비롯해 수많은 현대 이탈리아 작품을 세계에 알린 주역이다.
1908년 창단해 100년 넘는 역사를 지닌 이 오케스트라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빌헬름 푸르트뱅글러,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게오르그 솔티, 정명훈 등 전설적인 거장들의 지휘봉 아래서 연주해왔다.
이번 공연은 다니엘 하딩(50)이 2024/25 시즌부터 산타체칠리아 음악감독으로 부임한 이후 첫 내한이다. 영국 출신인 하딩은 이른 나이에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사이먼 래틀 경의 인정을 받아 세계 음악계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낸 지휘자다. 래틀의 대타로 버밍엄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19세에 지휘했고, 21세에는 아바도의 초청으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최연소로 지휘했다. 베를린필 수장을 지낸 아바도와 래틀의 총애를 받은 제자답게 하딩은 지금도 베를린필이 객원 지휘자로 가장 꾸준히 찾는 지휘자 중 한 명이다.
이번 내한 공연에서는 1부에서 드라마틱한 전개가 돋보이는 베르디의 오페라 ‘시칠리아 섬의 저녁 기도’ 서곡, 프랑스 인상주의의 유희성과 재즈의 발랄한 감수성이 결합된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G장조’를 연주한다. 2부에서는 러시아적 낭만이 넘실거리는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2번을 연주한다.
이번 내한 공연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슈퍼스타 피아니스트 임윤찬의 협연이다. 임윤찬이 무대에서 라벨의 G장조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0 Comments
제목